Investment Study

엘리어트 파동 핵심이론 서술 <1장 파동이론의 기본개념>

나해피 2020. 10. 8. 01:50

<책의 원문 내용 중 핵심적인 부분을 정리하였다>

파동은 5개의 동인 파동(Motive Wave) 3개의 조정 파동(Corrective Wave)으로 구성되어있다.

5개의 상승국면과 3개의 조정국면으로 나타나고, 시간 프레임상 순으로 모든 하위 파동의 완결은 상위 파동 일부이다.

 

그랜드 슈퍼사이클 - 슈퍼사이클 - 사이클 - 프라이머리 - 인터미디에이트 - 마이너 - 마이뉴트 - 미뉴엣 - 서브미뉴엣

충격파동의 진행은 대게 평행한 궤도 안에서 이루어진다.(일정한 추세를 따른다)

 

3파는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고, 4파는 1파와 겹치지 않는다.

(4파 저점은 1파의 고점을 침범하지 않는다)

 

충격 파동에서 1,3,5중 하나의 동인 파동은 대게 다른 두 파동보다 훨씬 길게 연장된다.

 

3파는 제일 짧을 수 없으므로 연장파가 나온다면 1, 5파 다음으로 긴 파동이 될 것이다.

 

<동인 파동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

1. 충격 파동

2. 대각 삼각형(Diagonal Triangles) 파동 = 쐐기형 패턴 시작 부분 동인 1파 , 조정 A / 종결부분 동인5파, 조정C파 

   - 쐐기형 패턴은 유일하게 파동 4가 거의 언제나 파동 1의 범위로 들어간다.(중복)

   - 드물게 대각삼각형 파동이 절단 파동으로 끝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 확률은 매우 낮다. 

 # 종결 쐐기형(Ending Diagonal)은 파동이 급격하고 각도 가파른 모습에서 다섯 번째 파동(조정 C파) 위치에서 발생

    *3-3-3-3-3-3 형태

 # 선도 쐐기형(Leading Diagonal) 파동

1과 4가 중복(파동 1의 고점을 침범) 경계선이 수렴하며 5-3-5-3-5의 패턴

    * 파동 1과 지그재그형 파동에 속한 파동 A의 위치에서 종종 나타난다

 # 상승 쐐기형과 하락쐐기형은 <강세 반전>을 뜻하며 최소한 시작점으로 되돌리는 급등, 급락으로 이어진다.

 

<조정파동>

1. 급각 조정(Sharp Corrections) = 급경사각 / 횡보 조정(Sideways Corrections)

 

2. 지그재그(Zigzag) , 2. 플랫(Flat), 3. 삼각형(Triangle) -> 조정 2파 4파에서 각각 다른 패턴이 나온다

(각 파동은 모멘텀과 투자심리 면에서 특징적인 성격과 거래량을 드러낸다)

*지그재그형(5-3-5 : 단일, 이중, 삼중)

 - 강세장에서 단일 지그재그형은 A-B-C로 표시되는 단순한 하락 3파로 시작된다.

 - 충격파 조정 2파에서 종종 지그재그형으로 나온다. 조정 4파에서는 드물다

 - 이중, 삼중 지그재그형는 지그재그 파동 사이에 X파 하나가 끼어 w-x-y(-x-z) 파동으로 표기한다.

   (W는 1파 - Y는 2파 Z는 3파, 각 파동의 x는 되돌림 파동

*플랫형(3-3-5 : 정상, 확장, 유동)

 - 큰 추세가 강력할 때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서 연장파동을 앞서거나 뒤따른다. 추세가 강할수록 짧아짐

 - 충격 파동 내에서 네 번째 파동이 종종 플랫형으로 전개되지만 두 번째 파동이 플랫이 나오는 건 드물다

 - 정상 플랫형 보다 확장 플랫형 파동이 훨씬 더 자주 나타난다. 파동B가 파동 A의 시작점을 상회한다.(고점 갱신)

   (확장 플랫형 패턴 : ABC의 3-3-5 조정중 B가 A의 시작점을 상회하고, C가 A의 저점을 갱신한다.) 강세장/하락장

*수평 삼각형[(3-3-3-3-3 : 수렴(상승, 하강, 대칭), 확장(역대칭)]

 - 대개 거래량과 변동성의 감소를 수반하는 횡보상태에서 나타남 A-B-C-D-E / E파는 추세선에 닿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상승장 A, C, E 아래 B, D 위 / 하락장 A,C,E 위 B,D 아래 

 - 앞선 파동의 가격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는 수렴삼각형 - 정상 삼각형 

 - 앞선 파동의 가격을 넘어서는 유동 삼각형은 매우 흔한 패턴이다. 파동 E의 종결점에서 앞선 파동을 되돌린다.

 - 삼각 파동의 하위 파동은 대게 지그재그이고 삼각 파동도 마찬가지로 연장되어 9파가 나오기도 한다.

 - 삼각형 파동은 언제나 충격파동의 4파 , 조정ABC파의 B파에서 나타난다.

*혼합형(이중 3파, 삼중 3파)

  - 플랫형 파동에 뒤이어 삼각형 파동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인 이중 3파 형태다

  - 플랫형 다음 지그재그형이 나오기도 한다.

  - 혼합형 파동에서는 2개 이상의 파동이 중복돼 나타나지 않고 삼각형 파동은 큰 추세의 마지막 움직임 이전에 나온다.

  - 파동의 수가 9파,13파,17파이고 겹치는 파동이 거의 없다면 동인파동일 가능성이 높다

  - 파동의 수가 7파,11파,15파이고 겹치는 파동이 많다면 조정파동일 가능성이 높다.

  - 예외로는 상승세와 하락세가 혼합된 대각 삼각형 파동이 있다.

 

<연장파동>

연장파동은 다섯 개의 파동이 아닌 아홉개의 파동을 형성한다.

주식시장에서는 3파의 연장파동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절단파동> 

5파가 3파의 고점을 넘지 못하는 경우 절단파동이라고 한다.

종종 아주 강한 세번째 파동 이후에 나타난다.

 

<정통 고점과 저점>

때로 패턴의 종결점이 연관된 가격 극단과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패턴의 종결점은 패턴 진행 도중이나 진행 후에 나타난 실제 주가의 고점이나 저점과 구별하기 위하여 정통고점 또는 저점으로 불린다. 

시장을 성공적으로 분석하려면 패턴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이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